김보경 Bokyung Kim
김보경 작가는 한국 전통 문화에서 불완전함을 포용한다는 것을, 자연 그대로의 형태를 받아들여 자연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이러한 불완전함의 미와 불교정신에서 비롯된 비영속성,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견되는 크고 작은 흔적들과 자연 혹은 자연스러운 현상을 통해 재탄생하는 것들을 아름다움이라 정의하고 이것의 가치를 작품에 투여한다.
작가의 명상적 관행의 기원은 불교정신에서 비롯되었다. 불교 사찰을 방문 할 때마다 평온함과 조용함을 마주하고, 자연과 어우러진 그곳에서의 감성을 시각화 하기 위해 일정한 채도를 유지하며 자연을 주 재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들을 비우고 채우는 행위의 반복을 통해 명상적 수행을 하고, 비워진 부분을 모두 메꾸는 것이 아닌, 표면에 표현된 투명과 불투명 그 경계의 상태, 불완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객에게 자연과 가까운 평온한 순간을 제공한다.
작가의 명상적 기원인 불교정신에서 Impermanence, 비영속성의 목적
중 하나는 눈앞에 존재하는 실재의 집착을 버리는 것이다. 우리가 사물이 영속적이다 여기고 이에 집착하는 순간부터, 이것들이 우리에게 즐거움이나 고통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영속성을 받아들임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섭리를 받아드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품 표면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래의 탈락 또는 빛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한지의 색감은 시간의 흐름에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섭리를 받아드리는, 또한 그것을 아름다움이라 여기는 작가의 정신이 표현된다.
또한, Imperfection, 불완전 함을 포용하는 한국의 미는 완전하지 않은 만큼 더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완벽함을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인공적인 변화를 강요하기 보단 자연과 인간의 공술의 융합을 통해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룬다. 따라서 작가는 완전함을 도달하는 도중 발견되는 불완전함의 미를 찾기 위해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며 겹겹이 쌓아 올린다. 햇빛의 따스함을 머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한지는 소박하고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또한, 흙과 모래를 한지로 감싸 안으며 그 과정 속에서 발생한 잔해들과 표면에 남겨진 흔적들을 보존 함으로서, 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도 아름다움이 유지되는 작품을 만든다.
작가는 자연 속에 살며 일상에서 당연시되는 아름다운 풍경이 아닌, 모래, 흙, 나뭇조각, 꽃잎, 잎사귀 등을 수집하여 자칫 지나치고 외면할 수 있는 자연의 일부분을 재료로 사용한다. 일상에 숨어있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자연을 한지로 조심스럽게 감싸 안는다. 이러한 꾸준한 작업은 정신 수양의 일부분이 되며, 일상의 아름다움을 기억하는 하나의 아카이브가 완성이 된다. 작가로서 작품을 만드는 행위는 명상의 일부분이 되며 관객은 작품으로 하여금 마음의 평온과 안정, 그리고 자연을 통한 아름다움의 가치를 마주한다.
EDUCATION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ISD, Providence, RI
2017 – 2018 석사, 미술 교육학 전공, 로드 아일랜드 (MAT, Master of Arts in Teaching)
2013 – 2017 학사, 순수미술 회화 전공, 로드 아일랜드 (BFA, Painting)
SOLO EXHIBITION
2020 Surface of Calmness, H contemporary gallery
2020 ‘Beauty of Imperfection’, 갤러리 도스, 서울
GROUP EXHIBITION
2020 ‘K Auction 2020 자선+프리미엄 미술품 경매’, 케이옥션 전시장, 서울
‘LA Art Show’ rep by Young Art Gallery (Korea), Los Angeles Convention Center, 엘에이
‘꿈과 마주치다展’ 2020 갤러리일호 신진작가 공모전, 갤러리 일호, 서울
2019 ‘SEEA 2019’ Special Exhibition for Emerging Artists, 성남 아트센터, 성남
‘Cynosure’ KAPA 국제미술상 수상작 그룹전, BT 갤러리, 서울
‘동행’, 영아트 갤러리, 대전
‘Redolent’, Punto Blu, 서울
‘이때다 기획전 속 기획전, 접속 Accessing’, 한일 문화 교류 전시회 ETTEDA, ArtArch, 서울
‘신진 작가 공모전’, Artspace H, 서울
‘Artist Statement #4’, CICA Museum, 김포
2018 ‘Present from the Past’, VETS Gallery, 로드아일랜드 (–2019)
‘Heritage’, L’espace71, 서울
‘Flora Fauna’, The Nature Lab, 로드아일랜드
2017 ‘Letizia’, Memorial Hall Gallery (RISD), 로드아일랜드
‘Senior Degree Project Show’, Woods-Gerry Gallery (RISD), 로드아일랜드
2016 ‘Painting Department Show’, Woods-Gerry Gallery (RISD), 로드아일랜드
AWARDS
2019 광저우 국제 아트페어 청년미술 공모전, 입선 KAPA 2019 국제 미술상, 시 의원상 (최우수상)
2018 RISD Fellowship (2017 – 18)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교육 대학원 Fellowship
2015 Honors, RISD Honors Student Academic Award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우수학생 상
PUBLICATION
2019 Artist Statement #4, CICA Museum
Inside the Studio: Bo Kyung Kim, Woven Tale Press
Woven Tale Press, Volume VII #3
2018 Aesthetica Magazine, December/January Issue (80)